본 논문은 여기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참고했습니다.

about DCGAN

DCGAN은, 기존 GAN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욱 성능이 높아진 네트워크입니다.

다음 네 가지 항목들을 통해, 성능을 높였습니다.

  1. GAN의 구조에 대한 제약 조건들을 제안하여, 안정적으로 훈련이 진행되도록 한다.

  2. Trained된 discriminator를 사용했다.

  3. Intermediate 부분의 filter들을 visualize함을 통해, 특정 필터가 특정 object를 어떻게 생기게 했나를 보여주었다.

  4. G 에 vector arithmetic 특성을 주어, 생성된 샘플의 sementic representation을 조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CGAN의 구조
  1. maxpooling 대신 strided convoution을 사용, FCN 대신 global average pooling 사용

  2. Batch norm 사용(결과가 통일되는 model collapse 방지, initialization, gradient flow가 더 잘되도록 함)

DCGAN의 훈련 detail

설명

설명

Global average pooling 설명: https://gaussian37.github.io/dl-concept-global_average_pooling/

Transconvolution2D

참고한 곳 :https://wh00300.tistory.com/150

https://hyeongminlee.github.io/post/gan003_dcgan/

https://simonjisu.github.io/python/2019/10/27/convtranspose2d.html

Transconvolution2D은 conv 연산의 반대 개념이다.

자세한 개념은 위 블로그들에 기술되어 있고, 사이즈만 위주로 확인해 보겠다.

설명

(channel , width, height)기준으로,

Conv 연산을 할 때 input이 (1024, 2, 2), padding = 2, stride = 1, kernel size = 3이면,

output은, (1024, 4, 4)이다.

이 때 위 식에 의해 p’ = (k - p - 1) = 0 이다.

s’를 1 이 아닌 2라고 했을 때, transposed Conv의 output size는 다음과 같다.

Output = (Input -1) * stride - (2 * padding) + filter + outer padding

(이 때 padding에는 p’가 들어가는게 핵심이다.)

따라서 적용해보면 5 = (2 - 1) * 2 - (2 * 0) + 3 이다.

output size는 고로 (1024, 5, 5) 이다.

참고 : ConvTranspose2d(a, b, c, d, e)라고 했을 때 각각의 인자를 설명해드리자면, a는 입력으로 들어오는 채널의 수, b는 만들어지는 결과값의 채널 수, c는 커널의 크기, 즉 Convolution 연산을 수행하는 필터의 크기, d는 stride, e는 padding

이 e(padding)은 p'로 이미 전처리 된 값이다.

CODE


import torch
import torch.nn as nn  #G, D의 architecture를 정의하기 위해서 불러옴
from torchvision.datasets import MNIST
#from torchvision import datasets  #Mnist dataset을 불러오기 위해
import torchvision.transforms as transforms  #불러온 dataset을 전처리하기 위해
from torchvision.utils import save_image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생성된 이미지 출력 위해


latent_dim = 100

class Generator(nn.Module):
    def __init__(self):
        super(Generator, self).__init__()  #nn.module의 __init__ 사용하기 위해

        self.model = nn.Sequential(
        nn.ConvTranspose2d(latent_dim, 512, 4, 1, 0, bias = False),
        #(in channel, out, kernel, stride, padding)
        nn.BatchNorm2d(512),
        nn.ReLU(),
        #(512, 4, 4)
            
        nn.ConvTranspose2d(512, 256,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256),    
        nn.ReLU(),
        #(256, 8, 8)
            
        nn.ConvTranspose2d(256, 128,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128),
        nn.ReLU(),
        #(128, 16, 16)
        
        nn.ConvTranspose2d(128, 64,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64),
        nn.ReLU(),
        #(64, 32, 32)
            
        nn.ConvTranspose2d(64, 3, 4, 2, 1, bias = False),
        nn.Tanh(),
        #(3, 64, 64)
        )
        #output size = (3)

    def forward(self, z):
        img = self.model(z)  #noise z를 모델에 넣음
        #img = img.view(img.size(0), 1, 28, 28)  #(batch size, 채널, 높이, 너비)를 주어 이미지 형태로 만듦
        return img


class Discriminator(nn.Module):  #이미지를 받아 확률값으로
    def __init__(self):
        super(Discriminator, self).__init__()
        
        #input channel, output chanel만 들어감. 실제 input 형태 : (3 * 64 * 64)
        self.model = nn.Sequential(
        nn.Conv2d(3, 64, 4, 2, 1, bias = False), # size = (3 * 64 * 64) -> (64, 32, 32)    
        #인자 : (in channel, out, kernel, stride, [adding, blas)
        #inplace를 쓴다 -> input data 자체를 수정 -> 메모리 효율 증가 하지만 input 정보 손실
        nn.LeakyReLU(0.2, inplace = True),
               
        nn.Conv2d(64, 128,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128),
        nn.LeakyReLU(0.2, inplace = True),
        #(128, 16, 16)   
        
        nn.Conv2d(128, 256,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256),
        nn.LeakyReLU(0.2, inplace = True),
        #(128, 32, 32)
            
        nn.Conv2d(256, 512, 4, 2, 1, bias = False),
        nn.BatchNorm2d(512),
        nn.LeakyReLU(0.2, inplace = True),
            
        nn.Conv2d(512, 1, 4, 1, 0, bias = False),
        nn.Sigmoid(),
        #(512, 1, 1)
        )
    def forward(self, img):  #한 장의 이미지가 들어왔을 떄 flatten 하여 쭉 나열하고, 모델에 넣음
#         flattened = img.view(img.size(0), -1)
#         output = self.model(flattened)
        output= self.model(img)
        result = output.view(-1, 1).squeeze(1)
        
        return result

def weights_init(m):
    classname = m.__class__.__name__ 
    if classname.find('Conv') != -1:         # Conv weight init
        m.weight.data.normal_(0.0, 0.02) #(평균 0.0 표준편차 0.02에서 data 뽑음)
    elif classname.find('BatchNorm') != -1:  # BatchNorm weight init
        m.weight.data.normal_(1.0, 0.02)
        m.bias.data.fill_(0)

import torchvision.datasets as dsets
transform = transforms.Compose([
        transforms.Scale(64),
        transforms.ToTensor(),                     
        transforms.Normalize(mean=(0.5, 0.5, 0.5), std=(0.5, 0.5, 0.5))
])

train_dataset = dsets.CIFAR10(root='./data/', train=True, download=True, transform=transform)
dataloader = torch.utils.data.DataLoader(train_dataset, batch_size= 128, shuffle=True)

from torch.autograd import Variable
generator = Generator()
generator.cuda()

discriminator = Discriminator()
discriminator.cuda()

loss = nn.BCELoss()
loss.cuda()

lr = 0.0002
optimizer_D =torch.optim.Adam(discriminator.parameters(), lr=lr, betas=(0.5, 0.999))
optimizer_G = torch.optim.Adam(generator.parameters(), lr=lr, betas=(0.5, 0.999))


import time
EPOCHS = 200
sample_interval = 2000
start_time = time.time()

for epoch in range(EPOCHS):
    for i, (imgs, _) in enumerate(dataloader):

        # 진짜(real) 이미지와 가짜(fake) 이미지에 대한 정답 레이블 생성
        real = torch.cuda.FloatTensor(imgs.size(0), 1).fill_(1.0) # 진짜(real): 1
        fake = torch.cuda.FloatTensor(imgs.size(0), 1).fill_(0.0) # 가짜(fake): 0

        real_imgs = imgs.cuda()

        """ 생성자(generator)를 학습합니다. """
        optimizer_G.zero_grad()

        # 랜덤 노이즈(noise) 샘플링
        z = torch.normal(mean=0, std=1, size=(imgs.shape[0], latent_dim, 1, 1)).cuda()
        

        # 이미지 생성
        generated_imgs = generator(z)
        # 생성자(generator)의 손실(loss) 값 계산
        g_loss = loss(discriminator(generated_imgs), real)

        # 생성자(generator) 업데이트
        g_loss.backward()
        optimizer_G.step()

        """ 판별자(discriminator)를 학습합니다. """
        optimizer_D.zero_grad()

        # 판별자(discriminator)의 손실(loss) 값 계산
        real_loss = loss(discriminator(real_imgs), real)
        fake_loss = loss(discriminator(generated_imgs.detach()), fake)
        d_loss = (real_loss + fake_loss) / 2

        # 판별자(discriminator) 업데이트
        d_loss.backward()
        optimizer_D.step()

        done = epoch * len(dataloader) + i
        if done % sample_interval == 0:
            # 생성된 이미지 중에서 25개만 선택하여 5 X 5 격자 이미지에 출력
            save_image(generated_imgs.data[:25], f"{done}.png", nrow=5, normalize=True)
        
    print(f"[Epoch {epoch}/{EPOCHS}] [D loss : {d_loss.item(): .6f}] [G loss : {g_loss.item():.6f}] [Elapsed time: {time.time() - start_time:.2f}s]")

결과

50/200 에포크 (아직 학습 중)

설명

설명